울산 시민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교통비 환급 제도, 바로 K-패스입니다.
2024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이 정책은 특히 청년층과 대중교통 이용자가 많은 지역에서 큰 절약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
울산광역시도 시내버스·좌석버스·마을버스를 대상으로 K-패스를 적용하고 있으며, 요금 구간별·나이별 할인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
K-패스란? 10개월 만에 이용자 300만 명 돌파
- K-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요금 일부를 돌려주는 전국 단위 환급제도입니다.
- 전국 시내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마을버스, GTX 이용 시 적용되며, 고속·시외버스 및 KTX 등은 제외됩니다.
- 2024년 5월 1일 시행 이후 10개월 만에 누적 이용자 300만 명을 돌파할 만큼 반응이 뜨겁습니다.
울산시민의 교통비 절감 효과는 어느 정도였을까?
- 울산시민들은 월평균 1만 4769원을 환급받았습니다.
- 특히 청년층은 월평균 1만 6009원, 저소득층은 무려 2만 7898원을 환급받았습니다.
- 환급 외에도 카드사 할인까지 포함하면 체감 절감액은 훨씬 더 큰 수준입니다.
K-패스 할인 대상과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
대상자 유형 | 할인율 | 조건설명 |
일반 성인 | 20% |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|
만 19~34세 청년 | 30% | 동일 조건, 청년층 한정 우대 |
수급자·차상위계층 | 최대 53.3% | 등록 필요, 복지 대상자 |
다자녀 가정(2자녀) | 30% | 자녀 중 1명 이상 만 18세 이하 |
다자녀 가정(3자녀 이상) | 50% | 조건 동일, 환급 비율 상승 |
- 월 최대 60회까지 환급 적용되며, 초과 이용분은 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- 익월 말일경 자동 환급되며 별도의 신청은 필요하지 않습니다.
울산광역시 버스 종류별 요금표 (2025년 기준)
🟧버스 카드 사용 시 요금표
버스 종류 | 일반인 | 청소년 | 어린이 |
마을버스 | 1,000원 | 750원 | 무료 |
지선버스 | 1,000원 | 750원 | 무료 |
시내버스 | 2,300원 | 1,800원 | 무료 |
직행좌석버스 | 2,900원 | 2,200원 | 무료 |
리무진버스 | 3,900원 | 3,000원 | 무료 |
※ 현금 사용 시 카드 요금보다 100~200원 더 비싸므로 교통카드 사용을 권장합니다.
울산시, K-패스에서 한 단계 더 울산형 ‘U-패스’란?
울산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K-패스를 확장한 자체 교통비 지원 제도인 ‘U-패스’를 시행할 예정입니다. 이 제도는 기존 K-패스보다 더 넓은 대상, 더 높은 환급, 더 유연한 조건을 담고 있습니다.
U-패스 주요 특징
환급 횟수 무제한 적용 : 기존 K-패스는 월 60회까지만 환급 가능했지만, U-패스는 이 횟수 제한을 없애고 무제한 환급을 지원합니다.
저소득층 교통비 전액 환급 : 사회적 약자 배려를 강화하여, 울산 거주 저소득층은 대중교통 이용 금액을 100% 환급받게 됩니다.
청년 연령 기준 확대 : 기존 만 34세 이하에서 만 39세 이하로 확대되어 더 많은 청년층이 혜택을 받게 됩니다.
울산시 예산 추가 투입 : K-패스 국비 지원 외에 울산시 자체 예산을 추가로 배정하여 혜택의 폭을 지역 실정에 맞게 강화할 계획입니다.


K-패스 대상자별 한 달 환급 금액 정리표 (2025년 기준)
대상자유형 | 할인율 | 월 60회교통비예시 2,300원 기준 |
최대환급 | 비고 |
일반 성인 | 20% | 138,000원 | 27,600원 |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적용 |
청년(만 19~34세) | 30% | 138,000원 | 30,000원 | 최대 환급 한도 도달 |
저소득층(수급자·차상위) | 53.3% | 138,000원 | 30,000원 | 실제 계산은 73,554원이나 한도 초과 |
다자녀(2자녀 이상) | 30% | 138,000원 | 30,000원 | 자녀 1인 이상 만 18세 이하일 경우 |
다자녀(3자녀 이상) | 50% | 138,000원 | 30,000원 | 실제 계산은 69,000원이지만 한도 초과 |
참고사항
- 할인율이 높더라도, 실제 환급은 월 30,000원 이내로 제한됩니다.
- 요금 기준은 울산 시내버스 기준(1회 2,300원)으로 계산하였습니다.
- 마을버스, 지선버스 등 1,000원 요금 구간 이용 시 환급액도 비례 감소합니다.
- 월 15회 미만 이용 시 환급 불가하므로 사용 횟수 확인이 중요합니다.
어떤 상황에 어떤 카드가 유리할까?
🟧서울·경기·성남권에서 자주 이동한다면 → 기후동행카드 추천
월 65,000원으로 버스·지하철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하루 2회 이상 이용하면 기후동행카드가 훨씬 경제적으로
2025년 5월부터 성남 20개 역이 추가되어 활용도가 높아졌습니다.
🟧 청년이거나 전국에서 이동한다면 → K-패스 추천
월 최대 30,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어 교통비 부담을 줄여줍니다. 전국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며, 카드 등록만으로 자동 환급되며
특히 지방 청년층과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인 절약 효과가 큽니다.
울산시민에게 추천하는 교통카드
카드종류 | 특징 및 추천이유 |
티머니카드 | 울산 대부분의 버스에서 사용 가능하며 K-패스 등록에 적합합니다. |
캐시비카드 | 울산뿐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자주 이동한다면 효율적입니다. |
교통기능 체크카드 | 신한·농협·국민 등 주요 은행 카드로 간편하게 환급 등록이 가능합니다. |
※ 반드시 본인 명의 카드여야 하며, 가족카드는 등록이 불가능합니다.
결론 – K-패스는 시작 U-패스로 더 큰 혜택
울산시는 단순한 교통비 절감이 아니라, 시민 생활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교통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
특히 청년, 저소득층, 다자녀 가정 등 실질적인 부담을 느끼는 시민에게 더 강한 지원과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.
교통비 걱정을 줄이고 싶다면 지금 바로 K-패스를 등록하고, 하반기에는 U-패스를 놓치지 마세요.
반드시 확인하셔야 할 주의사항
환급은 서울 및 일부 광역시와 달리 고속버스, 시외버스, 철도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환급 기준인 15회 이상 이용하지 않으면 자동 환급이 되지 않으며, 횟수는 매월 초기화됩니다.
환급금은 다음 달 말 카드 결제 계좌로 자동 입금되므로 별도 신청은 필요하지 않습니다.
교통카드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, 하나의 카드로만 사용해야 정확하게 횟수가 누적됩니다.
결론: K-패스는 울산 청년에게 꼭 필요한 교통비 절감 수단
울산처럼 시내버스와 좌석버스 비중이 큰 지역에서는 K-패스를 통해 한 달에 3만 원까지 실질적으로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출퇴근, 통학, 아르바이트 이동이 많은 청년이라면 반드시 신청하시기를 권장합니다.
이미 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, 지금 바로 등록만 해도 환급이 시작됩니다.
자료 출처: K-패스 공식 홈페이지, 울산광역시청 교통정보, 울산버스운송사업조합
'운전&교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천지하철 2호선 요금 2025년 최신 업데이트 (0) | 2025.04.16 |
---|---|
후불 기후동행카드, 고양시·과천시 확대 실시 알아보기 (0) | 2024.11.30 |